사업소개
광주여성가족재단은 5·18 제45주년을 맞아 오월여성들의 삶과 활동을 기록함으로써 통합적인 오월여성사 발굴 및 축적에 기여하기 위하여 2025년 5월 16일 ‘2025 광주민중항쟁과 여성’이라는 제목의 단행본을 발간하였습니다.책 구성 목록
대제목 | 중제목 | 소제목 |
---|---|---|
제1부 여성운동과 민주화의 봄 | 1. 1970년대 국내 여성운동의 지형 | |
2. 광주지역의 여성운동 | ||
3.‘민주화의 봄’(1979.10~1980.5.16.) | ||
제2부 광주민중항쟁과 오월 여성 | 1. 5월 17일 : 계엄 확대와 예비검속 | 1) 무자비한 예비검속 |
2) 여학생이라고 예외 없고 | ||
2. 5월 18일 : 피의 일요일 | 1) 최초의 상황실, 녹두서점 | |
2) 전남대 앞 약속 | ||
3) 광주YWCA의 아침 | ||
4) 도청 앞으로! | ||
5) 야만의 시간이 열리다 | ||
6) 벌거벗긴 여성들 | ||
7) 최초의 성폭행 사건 | ||
8) 다치거나 사라진 여성들 | ||
9) 대공과로 간 유소영 | ||
3. 5월 19일 : 11공수여단 증파와 확산되는 시민 공세 | 1) 11공수여단 증파와 폭압적 진압 | |
2) 최초 총상 부상자와 사망자 | ||
3) 일어서는 고등학생들 : “교목의 칼라를 떼자!” | ||
4) 녹두서점의 화염병과 송백회 | ||
5) 여고생을 대검으로 희롱하고 | ||
6) 폭증한 성폭력 | ||
7) 트럭에 실려 간 곳 | ||
4. 5월 20일 : 폭발적 저항과 불타는 가두 | 1) “내 아들이다” | |
2) 유혈사태를 막기 위한 노력 | ||
3) 교체된 진압봉 | ||
4) 민주 기사들의 봉기 | ||
5) 불타는 파출소 | ||
6) 광주MBC 화재 | ||
7) 광주역 집단 발포 | ||
8) 어머니들의 부상과 아이들의 실종 | ||
9) 계엄군 주둔지역의 성폭력 | ||
5. 5월 21일 : 피의 대가로 계엄군을 몰아내다 | 1) 잠들지 않는 광주 : 전옥주, 차명숙의 가두방송 | |
2) 협상대표로 나선 전옥주 | ||
3) 여성들의 주먹밥 | ||
4) 도청 앞 집단 발포 | ||
5) 전남대 전투 : 임산부 최미애 총상 사망 | ||
6) 속출하는 부상자와 헌혈 활동 | ||
7) 차량시위대와 항쟁의 확산 | ||
8) 21일의 녹두서점 | ||
9) 투사회보를 만든 여성들 | ||
10) 총격 속에 사라진 여아 | ||
6. 5월 22~26일 : 승리를 위한 해방공동체 | 1) 수습대책위원회에서 투쟁위원회로 | |
2) 외곽봉쇄와 민간인 학살 | ||
3) 제2의 항쟁지도부, 여성들의 활동 | ||
4) 민주수호범시민궐기대회 : 전면에 나선 여성들 | ||
5) 도청 취사반의 여성공동체 | ||
6) 전운의 그림자 | ||
7. 5월 27일 : 최후의 항전 | 1) 광주재진입작전과 도청사수대 모집 | |
2) 마지막 날을 맞이하는 시민군 : 여성들의 선택 | ||
3) 비상, 그리고 박영순의 애절한 새벽방송 | ||
4) 전남도청, 시민군 최후의 항전 | ||
5) 전일빌딩과 YMCA의 항전 | ||
6) YWCA 항전: 시민군의 밥을 위해 돌아온 여성들 | ||
7) 계림동에 배치된 도청사수대 | ||
8) 진압작전 완료, 계속되는 수색과 연행 | ||
9) 하늘의 별로 박히다 | ||
10) 끝나지 않은 여성들의 수난, 그리고 투쟁 | ||
제3부 광주민중항쟁 45년, 죽은 자가 산 자를 살렸다 | 1. 1980년 광주의 여성과 2024년 남태령의 키세스 시위대 | |
2. 여성 항쟁 활동의 특성 | 1) 여성들의 조직화 된 힘 | |
2) 전 계층을 망라한 여성들의 참여 : 화염병에서 헌혈까지 | ||
3. ‘총의 서사’에서 배제된 여성들 | ||
4. 여성들의 피해 상황(종합) | 1) 연행과 가혹행위 | |
2) 계엄군 등에 의한 성폭력 | ||
3) 부상·사망·행방불명 | ||
4) 고통과 트라우마 | ||
5. 항쟁 이후의 투쟁과 정신 계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