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패밀리사이트
홈으로가기
검색버튼

광주오월여성사

사업소개

광주여성가족재단은 5·18 제45주년을 맞아 오월여성들의 삶과 활동을 기록함으로써 통합적인 오월여성사 발굴 및 축적에 기여하기 위하여 2025년 5월 16일 ‘2025 광주민중항쟁과 여성’이라는 제목의 단행본을 발간하였습니다.
김지연 5·18민주화운동기록관 학예연구사, 박현정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팀장, 이춘희 광주전남민주화운동동지회 공동대표, 임선화 광주교육대학교 강사, 장세레나 광주여성회 대표, 정경운 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 교수, 주문희 전라남도교육청교육연수원 코칭 교수요원, 추명희 한국구술사연구소 연구원, 홍인화 전(前) 5·18민주화운동기록관장 등 총 9명의 공동필진이 1년여 동안 연구 및 집필하였습니다.
2025 광주민중항쟁과 여성 책 표지

책 구성 목록

청년동아리 지원사업 연도별 내용을 나타내는 표
대제목 중제목 소제목
제1부 여성운동과 민주화의 봄 1. 1970년대 국내 여성운동의 지형
2. 광주지역의 여성운동
3.‘민주화의 봄’(1979.10~1980.5.16.)
제2부 광주민중항쟁과 오월 여성 1. 5월 17일 : 계엄 확대와 예비검속 1) 무자비한 예비검속
2) 여학생이라고 예외 없고
2. 5월 18일 : 피의 일요일 1) 최초의 상황실, 녹두서점
2) 전남대 앞 약속
3) 광주YWCA의 아침
4) 도청 앞으로!
5) 야만의 시간이 열리다
6) 벌거벗긴 여성들
7) 최초의 성폭행 사건
8) 다치거나 사라진 여성들
9) 대공과로 간 유소영
3. 5월 19일 : 11공수여단 증파와 확산되는 시민 공세 1) 11공수여단 증파와 폭압적 진압
2) 최초 총상 부상자와 사망자
3) 일어서는 고등학생들 : “교목의 칼라를 떼자!”
4) 녹두서점의 화염병과 송백회
5) 여고생을 대검으로 희롱하고
6) 폭증한 성폭력
7) 트럭에 실려 간 곳
4. 5월 20일 : 폭발적 저항과 불타는 가두 1) “내 아들이다”
2) 유혈사태를 막기 위한 노력
3) 교체된 진압봉
4) 민주 기사들의 봉기
5) 불타는 파출소
6) 광주MBC 화재
7) 광주역 집단 발포
8) 어머니들의 부상과 아이들의 실종
9) 계엄군 주둔지역의 성폭력
5. 5월 21일 : 피의 대가로 계엄군을 몰아내다 1) 잠들지 않는 광주 : 전옥주, 차명숙의 가두방송
2) 협상대표로 나선 전옥주
3) 여성들의 주먹밥
4) 도청 앞 집단 발포
5) 전남대 전투 : 임산부 최미애 총상 사망
6) 속출하는 부상자와 헌혈 활동
7) 차량시위대와 항쟁의 확산
8) 21일의 녹두서점
9) 투사회보를 만든 여성들
10) 총격 속에 사라진 여아
6. 5월 22~26일 : 승리를 위한 해방공동체 1) 수습대책위원회에서 투쟁위원회로
2) 외곽봉쇄와 민간인 학살
3) 제2의 항쟁지도부, 여성들의 활동
4) 민주수호범시민궐기대회 : 전면에 나선 여성들
5) 도청 취사반의 여성공동체
6) 전운의 그림자
7. 5월 27일 : 최후의 항전 1) 광주재진입작전과 도청사수대 모집
2) 마지막 날을 맞이하는 시민군 : 여성들의 선택
3) 비상, 그리고 박영순의 애절한 새벽방송
4) 전남도청, 시민군 최후의 항전
5) 전일빌딩과 YMCA의 항전
6) YWCA 항전: 시민군의 밥을 위해 돌아온 여성들
7) 계림동에 배치된 도청사수대
8) 진압작전 완료, 계속되는 수색과 연행
9) 하늘의 별로 박히다
10) 끝나지 않은 여성들의 수난, 그리고 투쟁
제3부 광주민중항쟁 45년, 죽은 자가 산 자를 살렸다 1. 1980년 광주의 여성과 2024년 남태령의 키세스 시위대
2. 여성 항쟁 활동의 특성 1) 여성들의 조직화 된 힘
2) 전 계층을 망라한 여성들의 참여 : 화염병에서 헌혈까지
3. ‘총의 서사’에서 배제된 여성들
4. 여성들의 피해 상황(종합) 1) 연행과 가혹행위
2) 계엄군 등에 의한 성폭력
3) 부상·사망·행방불명
4) 고통과 트라우마
5. 항쟁 이후의 투쟁과 정신 계승
※ 본 출판물의 저작권 및 판권은 광주여성가족재단에 있습니다. 이 책 내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재사용하려면 반드시 원 저작권자와 광주여성가족재단 양측의 동의를 받아야 합니다.